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화장실부터 부엌까지, 공간별 제로 웨이스트 팁
    제로 웨이스트 2025. 6. 28. 07:08

    일상 공간에서 시작하는 친환경 습관

    제로 웨이스트(Zero Waste)는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을 최대한 재사용하는 삶의 방식입니다. 특별한 장비나 극단적인 결심 없이도, 우리가 사는 공간만 잘 관리해도 충분히 실천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화장실, 부엌, 거실, 현관 등 주요 공간별로 제로 웨이스트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.

     

    일상 공간에서 시작하는 제로 웨이스트

     

    화장실: 가장 많은 일회용품이 소비되는 공간

    화장실은 생각보다 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공간입니다. 화장지, 면봉, 칫솔, 샴푸 용기 등 대부분이 일회용이거나 플라스틱입니다.

    • 고체 비누와 샴푸바 사용하기
     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액체 샴푸 대신 고체 샴푸바를 사용하면 포장 쓰레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. 비누도 마찬가지입니다.
    • 대나무 칫솔로 교체하기
      플라스틱 칫솔은 분해되는 데 수백 년이 걸립니다. 대나무 칫솔은 생분해가 가능하고, 디자인도 다양합니다.
    • 면봉, 생리대 등 위생용품도 천연 소재로
      종이봉면봉, 생리컵, 천 생리대 등 대체제가 다양합니다.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도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부엌: 제로 웨이스트의 중심지

    부엌은 음식물 쓰레기와 포장재가 집중되는 곳이므로, 작은 변화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    • 벌크샵에서 필요한 만큼만 구매하기
      곡물, 견과류, 조미료 등을 소량씩 살 수 있는 리필샵이나 벌크숍을 이용하면 과포장을 줄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밀랍 랩과 유리 용기 사용
      일회용 랩 대신 벌집 밀랍 랩을 쓰거나, 식품 보관을 위해 유리 용기를 사용하면 위생과 환경 모두에 좋습니다.
    •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
      식단 계획을 세우고 남은 재료를 재활용하는 습관은 쓰레기뿐 아니라 식비도 줄여줍니다. 퇴비화를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.

     

    거실: 미니멀하고 지속가능한 공간으로

    거실은 전자기기, 소품, 택배 포장 등이 모이는 공간입니다.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오래 쓰는 물건으로 전환해보세요.

    • 중고 거래를 생활화하기
      책, 가전, 장난감 등 중고 물품을 사고파는 플랫폼을 활용하면 자원의 수명을 늘릴 수 있습니다.
    • 디지털 구독으로 종이 줄이기
      잡지, 신문, 카탈로그 등을 디지털로 구독하면 종이 낭비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.
    • 가구는 리폼하거나 업사이클링하기
      버리기보다 새롭게 활용하는 법을 배우면 제로 웨이스트에 재미까지 더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현관/외출 준비 공간: 출발 전에 이미 실천하는 습관

    외출 전 챙기는 물건들만 바꿔도 제로 웨이스트 실천이 가능합니다.

    • 에코백과 텀블러 준비하기
      장바구니 대신 에코백,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가지고 다니면 매일 쓰레기 한두 개는 줄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외출용 키트 만들기
      젓가락, 수저, 빨대, 손수건을 담은 작은 키트를 항상 가방에 넣어두면 편리하고 실용적입니다.

     

    세탁실과 보관 공간: 환경을 배려하는 정리법

    세탁기 사용량, 세제 선택, 보관 방식까지도 환경에 영향을 줍니다.

    • 고농축 친환경 세제 사용하기
      물 사용량을 줄이고 유해 화학성분을 배제한 세제를 선택하면 환경에 대한 부담이 줄어듭니다.
    • 건조기 대신 자연 건조하기
      햇빛은 최고의 살균제입니다. 가능하다면 자연 건조를 활용하세요.
    • 보관 용기는 통일성 있게 오래 쓰기
      플라스틱이 아닌 유리, 철제, 종이 재질의 용기를 사용해 시각적으로도 정돈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제로 웨이스트는 공간에서 시작된다

    제로 웨이스트는 실천의 범위를 좁힐수록 더 쉬워집니다. 집이라는 공간 안에서 나의 소비 습관과 쓰레기를 되돌아보는 것만으로도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. 매일 사용하는 공간에서의 작은 실천이 지구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며, 오늘 한 가지라도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요?

     

Designed by Tistory.